본문 바로가기
모동숲/모동숲 정보

모동숲 마일섬 정보

by Scharf 2020. 4. 13.

확률표

 

 

마일 섬의 일반 나무(활엽수, 침엽수)에는 고정으로 벌집과 가구가 1개씩 숨겨져 있다.

 

단, 과일 나무나 대나무에서는 나오지 않음

 

 

1. 일반섬

총 5종류의 형태가 존재하나, 지형이 다른 점들을 빼면 공통적으로 적당한 나무와 꽃, 바위가 있는 평범한 섬이다. 당연하지만 가장 높은 확률로 볼 수 있는 섬이다.

 

 

 

 

 

2. 산섬

강과 호수가 전혀 없으며 절벽이 2중으로 있고 맨 위에 바위 5개가 있다. 일반 섬으로 분류되기에는 조금 특이한 형태로 되어있는데 해안선의 내륙에는 일반 나무가 있으며, 중간층은 과일 나무만 있으며, 최상층에 바위와 꽃밭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섬은 일반 섬에 비해 바위가 1개 더 많은 것이 전부이다. 오히려 곤충 스폰은 바위에 나오는 공벌레, 지네로 고정이기 때문에 어찌 보면 일반 섬보다 못할 수도 있다.

 

 

3. 돈바위호수섬

내륙의 대부분을 커다란 호수가 차지하고 있고 중앙에 땅이 있다. 다른 곳은 간격이 멀어 장대로 넘어갈 수 없고, 12시에 안쪽으로 쑥 들어가 있는 돈 바위가 하나 있는데 이 바위를 과일을 먹고 부수면 높이뛰기 장대를 이용해 호수 안쪽 땅에 입장할 수 있다. 12시 쪽 바위는 위치상 8콤보가 불가능하므로, 따로 삽이나 도끼로 치지 않고 그냥 부숴서 8,000벨이라도 얻는 것이 이득이다. 안쪽 땅에는 5개의 바위가 있는데 모두 돈 바위들이라 올콤보에 성공하면 많은 벨을 수급할 수 있다. 바닥에 돌이 떨어져 있으므로 바위를 치기 전에 확인하자. 8콤보시 바위 하나당 16,100벨이 나오고 12시쪽 바위를 포함하여 최대로 얻는 벨은 88,500벨.

물고기는 쓰레기가 많이 낚인다고 알려진 것과 달리 특이사항이 없다. 다만 호수 지형이므로 돌아다니면서 이벤트 재료 파밍에는 괜찮은 편이다.

유저들 사이에서 특수 섬으로 분류되는 편이나, 특수 섬으로 분류되는 다른 섬과는 달리 1일 방문 횟수에 제한이 없다.

 

 

 

4. 대나무섬

평지밖에 없는 작은 섬으로 다수의 대나무가 자라나 있으며 땅에도 죽순이 묻혀 있어 죽순을 캐서 본섬에 대나무를 심어 키울 수도 있고, 과일을 먹고 대나무를 뽑아내면 개당 1,500벨에 판매할 수 있다. 강이 없는 평지 섬이라 바다낚시를 하기에도 좋은 섬이나 지느러미 물고기 섬이나 대형 물고기 섬처럼 어종에 이득은 없다. 물고기 스폰 종류가 바뀌는 간절기에 가서 두루두루 낚기 좋은 섬.

일반 나무가 없어서 나뭇가지를 얻을 수 없으며, 목재를 주는 나무도 야자수 4그루뿐이라 목재 수급에 제한이 크다. 이 때문에 도끼를 가지고 오지 않았거나 도끼 내구도가 부족하다면 도끼를 다시 만들기가 꽤 어렵다. 일반적인 경우라면 상관 없지만 섬 개조로 타란툴라를 파밍하려고 할 때 이렇게 되면 꽤 치명적이다. 마찬가지로 잠자리채와 낚싯대가 부서지면 너굴 마일로 사야한다.

 

5.과수원섬

본섬의 과일이 아닌 다른 과일나무 1종이 19그루나 심어져 있는 섬. 온라인 미가입 유저일 경우, 초반에 엄마가 우편으로 보내주는 열매를 제외하면 타섬 과일을 수급할 수 있는 유일한 루트다. 다만 여기서 나오는 열매 역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세 종류를 제외한 나머지 두 가지 과일은 멀티플레이로 구해야 과일 나무 마일 업적을 달성할 수 있다. 가끔 엄마가 주는 과일과 과수원 섬에 고정된 과일이 같은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세 종류의 과일을 멀티플레이로 구해야 한다.

다수의 나무가 있다는 점에서 목재도 많이 챙겨갈 수 있는 섬이기도 하다.

 

6.  수상곤충, 잠자리섬

큰 특징이 없는 일반 섬 같아 보이지만 곤충 등장이 강, 연못에 사는 곤충 및 잠자리류로 고정되어 있다. 강이 크게 굽혀져 있는 모습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스폰 목록 중에서 장수잠자리(4,500벨), 물장군(2,000벨)이 있다. 북반구 4월 기준으로 장수잠자리는 나오지 않지만, 물장군이 나와서 빠른 시간에 물장군으로 인벤토리를 꽉 채울 수 있다. 다만 물장군이 그다지 비싸지는 않아 특수 섬으로 분류되기에는 애매하다.

 

7. 쓰레기섬

위 수상 곤충/잠자리 섬과 특성은 동일하고 강 모양이 반대인 섬. 물고기가 쓰레기만 등장한다. 쓰레기를 이용한 DIY 레시피나 가구, 또는 쓰레기 낚기 마일 업적을 노려 볼 수 있는 섬이다.

곤충 스폰이 수상 곤충 섬과 동일하므로 물장군 및 장수잠자리 파밍도 가능하다.

 

8. 연못꽃밭섬

섬 등장 조건

미확인

1일 방문 횟수 제한

있음(1회)

가운데에 큰 호수가 있는 섬으로, 호수 주변엔 꽃이 만개해 있으며 교배 꽃도 많이 피어있다. 

곤충류는 꽃 주변에 몰려드는 곤충만 등장한다.

계절에 따라 나름대로 쏠쏠한 수익을 낼 수 있는 섬이다.

꽃은 삽으로 파내면 들고 갈 수 있다. 교배 꽃 주변에는 몰포나비나 제비나비 같은 몸값 좀 하는 녀석들이 잘 꼬이니 본섬으로 챙겨갈 가치가 있다. 꽃봉오리는 돈이 안 되므로 수집하지 말자.

 

9. 돈바위전갈섬

섬 등장 조건

전갈 등장 시기(5월~10월, 19시~4시)

1일 방문 횟수 제한

있음(1회)

위의 돈 바위 호수 섬과 비슷하지만 강, 호수가 전혀 없으며 대신 꽃이 만개해있다. 섬 모서리 부분에 절벽이 있지만 텅 비어있으므로 화석이 있는 경우를 빼면 올라갈 필요가 없다.

이 섬은 곤충 스폰이 전갈로 고정되어 있는데, 전갈은 마리당 8,000벨로 타란툴라와 가격이 동일하다. 또한 전갈은 타란툴라보다 잡기가 더 편하므로 파밍 난도도 낮다. 또한 섬에는 바위 7개 원형으로 놓여져 있는데 섬 명칭을 보면 알겠지만 전부 돈 바위이다. 전갈을 잡지 않아도 이 돈 바위만으로도 최대 112,700벨의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다만 지갑 소지금 제한이 99,999벨이기 때문에 돈 바위를 전부 다 치면 무조건 인벤토리 한칸을 돈이 차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전갈을 하나 채울 수 없게 된다. 그런데 최소 소지금인 0벨을 들고 마일 섬에 왔다고 가정하더라도, 인벤토리에 들어가는 돈 한칸은 최소 13,700벨이 되어 무조건 전갈 한 마리 가격인 8,000벨 보다 높기 때문에 전갈 한 마리를 포기하고 돈을 가져가는 게 이득이다. 극한의 효율을 추구할 경우, 돈을 임시로 바닥에 내려놓고 마지막 전갈을 잡은 후에 잠자리채를 버리고 돈을 가지고 가면 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타란툴라 섬보다 더한 잭팟 섬으로 분류된다.

 

 

 

10. 금광석 전갈섬

섬 등장 조건

미확인

1일 방문 횟수 제한

있음(1회)

곤충 스폰이 전갈로 고정되어 있어 돈 바위 전갈 섬처럼 전갈 파밍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 섬의 백미는 호수 안쪽 섬에 있는 단 하나의 바위인데, 여기에 들어가려면 사다리를 통해 섬 내 유일한 절벽 구간을 오르내린 다음 장대를 이용해서 넘어가야 한다. 들어가면 바위를 칠 수 있는데, 이 바위에서 나오는 아이템이 금광석으로 고정되어 있다.


즉, 돈 바위 전갈 섬의 상위 버전인 셈. 특히 금광석은 굉장히 희귀하므로 모든 마일 섬 중 가장 잭팟 섬으로 볼 수 있다.

 

 

 

11.타란툴라 섬

섬 등장 조건

타란툴라 등장 시기(11월~4월, 19시~4시)

1일 방문 횟수 제한

있음(1회)

언덕이 없으며 2칸짜리 강이 내륙을 둘러싸고 있다. 강 안에는 타란툴라가 약 5마리 가량이 스폰된다.

타란툴라는 마리당 8,000벨이기 때문에 무주식으로 대박을 터지거나 버그를 쓰는 게 아니면 가장 확실하게 벨을 벌 수 있는 섬으로 꼽히고 있다. 인벤토리를 모두 확장했을 경우, 잠자리채 하나를 빼고 인벤토리를 타란툴라로 모두 채울 시 너굴 상점 매입가 기준으로 무려 312,000벨을 벌 수 있으며 레온이 방문했을 때 팔면 판매가가 1.5배로 늘어 468,000벨을 벌 수 있다. 상어나 장수풍뎅이/사슴벌레, 전갈이 나오지 않는 시기에는 거의 유일한 잭팟 섬이기도 하다.

타란툴라 외에도 바위가 7개나 있으므로 벨을 조금 포기하면 광석들도 챙길 수 있다.

 

 

 

12. 나무섬

섬 등장 조건

미확인

1일 방문 횟수 제한

있음(1회)

이 섬은 두 종류가 존재한다. 기본 특징은 강과 호수는 일체 없고, 과일 나무도 없고, 대신 활엽수만 무려 30그루 이상 심어져 있는 섬. 3층 지형이 있는 왼쪽 섬은 야자수도 11그루나 심어져 있다. 다만 평지로만 이루어져 있는 오른쪽 섬은 다른 섬과 동일하게 야자수가 4그루이다.

곤충류 스폰이 나무에서 나오는 것들로만 고정된다. 때문에 비싼 장수풍뎅이/사슴벌레가 많은 여름 시기에는 이 섬도 잭팟 섬으로 분류된다. 하지만 비싼 장수풍뎅이/사슴벌레들의 스폰 시간이 대부분 밤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낮에 걸리게 된다면 수익을 내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9월 기준으로는 잡을 수 있는 종류가 아틀러스나방(3,000벨)과 골리앗왕꽃무지(8,000벨), 뮤앨러리사슴벌레(6,000벨) 정도이지만 그래도 다른 일반 섬에 비해서 충분히 고수익을 낼 수 있는 섬이다.

 

 

13. 대형물고기섬

섬 등장 조건

없음

1일 방문 횟수 제한

있음(1회)

이 섬도 나무 섬처럼 두 종류가 존재한다. 호수로 이루어져 있는 형태(왼쪽)와 하구가 있고 강이 호수 형태로 둘러싸고 있는 형태(오른쪽)로 나뉜다. 두 종류 다 낚이는 물고기가 대형으로 고정되어 있다.

 출시 초반에 큰입배스 섬이라고 저평가를 당했는데,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3월의 강에는 큰입배스 외 대형 어류가 스폰되지 않기 때문이다. 후에 다른 대형 물고기가 잡히는 것이 확인되면서 재평가를 받았다.

이 특성은 바다 쪽도 동일해서 다랑어, 청새치, 산갈치를 노릴 수 있다. 심지어 비가 안 오는 날씨인데도 실러캔스가 잡힌다는 보고가 있다. 다만 농어도 그만큼 많이 나온다. 또한 바다에서 나오는 희귀 어류 3마리는 추울 때만 나오고 더울 때는 나오지 않으므로, 더울 때는 강 낚시를 하는 것이 좋다.

어종이 한정되는 섬이다 보니 물고기 도감을 채우는데도 상당히 유용하다. 다만 대형 물고기에는 큰입배스, 농어, 넙치 같은 흔한 물고기도 있는데다 타이어 같은 쓰레기도 있기 때문에 돈을 벌기에는 꽤 많은 노가다가 필요하다. 또한 대형 어류 중에서 상어류는 나오지 않아 잭팟 섬으로 분류되기에는 다소 애매하다.

 

 

 

14 . 지느러미 물고기섬

섬 등장 조건

상어 등장 시기(6월~9월, 하루종일)

1일 방문 횟수 제한

있음(1회)

 

등지느러미가 달린 물고기만 나온다. 섬 자체도 3층이고 가장 꼭대기에 바위 하나가 있어서 상어 모양을 띠고 있다. 지느러미가 달린 물고기는 저가로 분류되는 빨판상어(1,500벨)와 개복치(4,000벨)조차도 다른 물고기에 비해서는 비싼 편이고, 귀상어(8,000벨), 톱상어(12,000벨), 고래상어(13,000벨), 상어(15,000벨)와 같이 고가의 물고기가 다수 포진해있기 때문에 잭팟 섬으로 분류되는 편이다.

다만 상어들의 리스폰 시간이 거의 야간에 몰려 있는지라 아침이나 점심에 당첨된 경우 빨판상어 개복치만 잡고 올 수도 있으며, 낚시는 채집에 비해 시간이 오래 걸리고 고가의 물고기는 놓치기가 쉬우므로 시간 대비 효율은 다른 잭팟 섬에 비해 떨어질 수 있다.

 

 

 

출처 : 나무위키

댓글